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

HER, 감정의 진정성과 인간관계의 경계 2013년, 스파이크 존즈 감독의 영화 'HER'는 개봉 당시만 해도 생소했던 인공지능(AI)과의 사랑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많은 논란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른 지금, 이 영화는 단지 기술적 상상력이 뛰어난 SF가 아니라, 인간 존재와 감정, 그리고 관계의 본질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인문학적 우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인공 테오도르는 인간 여성과의 이혼 후, 감정적으로 지쳐 있던 와중에 인공지능 운영체제(OS) ‘사만다’를 만나게 됩니다. 사만다는 단순히 기계 음성이 아니라, 끊임없이 진화하며 자아와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존재입니다. 그들은 대화하고, 감정을 공유하며, 결국 연애를 시작합니다. 이 설정은 관객으로 하여금 ‘이 관계는 진짜인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 2025. 8. 9.
기생충, 계급의 공간과 사회적 위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2019)은 현대 사회의 계급 불평등을 시각적으로, 구조적으로 정밀하게 설계한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단순히 부자와 가난한 자의 대립을 그리는 사회극이 아닙니다. 인간이 사는 ‘공간’이 곧 계급의 구조와 위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인문지리학적이고 인문사회학적인 해석이 가능한 고도의 상징성을 가진 영화입니다. 주요 내용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 박 사장이 사는 고급 주택, 그리고 지하실. 이 세 공간은 물리적인 높이만큼이나 사회적 위치를 은유합니다. 반지하는 지상의 빛과 연결되어 있으나 완전히 드러나지 않고, 빗물의 영향을 그대로 받는 취약한 공간입니다. 반면 박 사장네 집은 경비가 있는 언덕 위의 고지대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비가 와도 전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공간이 .. 2025. 8. 9.
블랙 스완, 자아 분열과 욕망의 충돌 영화 '블랙 스완'은 자아 분열과 욕망의 충돌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주요 내용과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작품의 의미를 알아봅니다.블랙 스완의 주요 내용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영화 '블랙 스완'(2010)은 표면적으로는 발레리나의 성장과 몰락을 그리는 예술 영화처럼 보이지만, 그 본질에는 인간의 자아 정체성과 욕망, 억압, 정신적 파열이라는 깊은 인문학적 주제가 깔려 있습니다. 주인공 니나는 뉴욕의 유명한 발레단에서 『백조의 호수』의 주연으로 캐스팅된 젊은 무용수입니다. 그녀는 순수하고 절제된 백조는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지만, 관능적이고 파괴적인 흑조 역할에서는 연출자로부터 계속된 지적을 받습니다. 그녀는 이중적인 역할을 모두 완성하기 위해 스스로를 점점 더 밀어붙이게 되고, 그 결과로 현실과 환상.. 2025. 8. 8.